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내가 가입한 보험,정말 괜찮을까 알아보기!!

 

 

제대로 된 보험가입

 

내가 지금 제대로 된 보험을 가진 게 맞는 걸까? 지나치게 비싼 보험료를 내고 있지는 않은가?  보험설계사는 진짜 나를 위해 상품을 소개해줬을까? 보험에 가입하기 전 이런 고민 하지 않은 사람이 드물 것이라고 생각해요. 자동차보험이나 여행자보험 등 일부를 제외하고는 한번 가입하면 10년이상 보험료를 내는 장기상품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더 고민하게 되는 것이죠. 부담이 크게 되지 않을 것 같은 보험료라 생각하지만, 한 푼 두  푼 모이면 어쩌다 마시는 찻값보다 비싸질 수 있다는 것을. 예를들어 한 달에 10만 원짜리 보험을 20년간 유지하면 원금만 2400만 원에 달하고, 복리이자까지 감안하면 웬만한 수입 중형차도 살 수 있는 금액이고 보면 당연한 고민이 아닐까 싶다.

 

 

 

 

보험상품의 특징

 

보험상품의 가장 큰 특징은 '푸쉬push'형이며 푸쉬를 알기 쉽게 설명하면, 보험사 또는 설계사가 소비자에게 권유해 판매하는 방식으로, 그렇게 하다보니 나중에 가입설계 잘못됐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일이 대부분 이지만 이미 때는 늦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가입시킬 때는 매우 친절하고 적극적이었지만 막상 돈을 내줄 때는 이런저런 조건 들먹여 제 때 지급하지 않는 경우도 허다하니 소비자의 화살이 보험사나 설계사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는 것. 물론 보험사 또는 설계사의 잘못된 행태에 대해선 금융감독원 등 당국이 다양한 조처를 하고 있으나, 각 보험사의 불완전판매 비율을 정기적으로 공개하고 시정명령 내리는 것이 단편적인 예라고 볼 수 있다. 문제는 소비자의 판단이 잘못되었을 때인데,  보험약관에 다 명시되어 있지만 이를 놓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 아쉽다. 이런 경우에 보험계약자에게 유리한 증거는 별로 없어 구원해주기가 쉽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2012년 영업정지 처분받은 부산저축은행을 보면 부산저축은행에서 후순위채권 사들인 사람들은 정부를 상대로 1년 넘게 시위를 하고 있었고, 휴지 조각이 되어버린 후순위채를 정부에서 다시 매입해 달라는 요구까지 해보았지만 법적으로 이를 해결해줄 방법이 없고, 결국 금융상품의 위험성에 관한 책임은 스스로 져야 하는 게 원칙이다하는 사실. 얼마 전 '우체국, 새마을금고 등 유사보험 취급기관과 손해보험사에서 실손보험에 중복가입한 사람들은 불완전판매 여부에 따라 그동안 납부한 보험료를 돌려받을 수 있다'는 신문기사가 났는데, 보험사 등이 실손보험계약 당시 '비례보상' 원칙에 관해 제대로 설명하지 않았다면, 그 책임을 소비자에게 돌려선 안 된다는 당국의 판단에 따른 조치라고 볼 수 있다.

 

 

 

 

 

 

보험은 그만큼 어렵고, 하나의 상품만 놓고 봐도 복잡하며 '원금+이자' 구조인 은행예금이나 적금처럼 단순하지 않다는 점. 비싼 보험료 납입하고도 정작 사고가 생겼을 때 보상을 받지 못하는 사람도 있으며 또한 비슷한 보험 여러 개 가입한 사람도 있다는 것. 친한 친구의 사정으로, 친척의 부탁으로 제대로 알아보지 않고 덥석 보험에 가입하는 사람이 많은 게 현실. 대형할인점에서 물건 하나 살 때도 혹시 비싸게 사는 것은 아닌지 꼼꼼히 따져보면서, 정작 이보다 훨씬 비싼 보험에 들 땐 청약서 한 번 읽지 않고 가입을 한다.

'좋은 보험'에 제대로 가입하려면 무엇보다 소비자들이 기본적인 보험지식으로 무장해야 하며, 보험사의 마케팅 전략을 간파하고 있어야 하고 보험사와 설계사가 은행과 은행원 관계와 다르다는 사실 또한 알아야 한다.보험은 살다가 경제적인 이유로 해지할 때 소비자 피해 가장 크게 발생하는 금융상품이라고 보면 된다,

 

 

 

 

이제껏 몰랐던 설계사들의 정체

 

인터넷 취업 사이트에는 하루에도 수백 건의 보험설계사 채용공고 하루도 빠짐없이 올라오고 있는 이유는  채용하기 쉬우며 비용 또한 들지 않고, 해고하기도 쉽기 때문인데 이게 대체 무슨 말일까?

보험설계사는 보험사 직원이 아닌, 명함에 삼성생명 팀장이라고 써 있을 뿐. 삼성생명 보험 판매하고 있어도 보험설계사는 삼성생명 직원이 아닐 가능성이 99.9%인 것이 현실이다.

보험사 직원이 아니라면 지금 나에게 보험을 팔고 있는 그는 과연 누구일까? 보험설계사들은 보험회사와 계약을 체결한 개인사업자 즉, 영업사원 격이지만 엄연한 자영업자일 뿐이다.

 

 

오늘도 안전하게

 

 

동네 슈퍼마켓에서 롯데제과 과자를 판다고 하여 슈퍼 주인을 롯데직원으로 여기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듯, 삼성생명이나 한화생명, 현대해상 보험 팔고 있다하여 해당 보험사의 '직원'은 아니라는 점 이것이 중요하다. 보험설계사는 개인사업자이기 때문에 각 보험사로부터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 4대보험 혜택 받지 못하고 보험설계사들은 4대보험에 가입할 때 직장가입자가 아닌 지역가입자 자격으로 개별적으로 가입해야 한다. 일부 영세한 보험설계사들이 국민연금에도 가입하지 않는 이유이며, 다만 대형보험사 중 자사의 전속설계사를 대상으로 학자금지원제도 등을 제한적으로 운영하는 곳이 있을 뿐이다.

 

 

 

 

과거엔 보험설계사들이 매달 출근수당을 받은 적도 있었지만 2000년대 들어 외국계 보험사를 중심으로 출근수당 제도는 사라지고,  이후에는 철저하게 실적 베이스 즉, 보험설계사들이 매달에 얼마나 많은 신규 계약을 따오느냐에 따라 월급이 결정되는 구조가 되어 월급이 1000~ 2000만 원에 달하는 설계사가 있는 반면,월 40~ 50만 원도 받지 못하는 설계사도 있어 극과 극인 현실이었으며,보험사는 설계사가 자사직원 아니기 때문에 언제든 해고를 통보할 수 있는 것.정확하게 말하자면 해촉,즉 계약해지가 이루어 지는 것이다.